[조현용의 우리말로 깨닫다] 맛나게 먹다

작성자 : 관리자 날짜 : 2023/07/19 16:35

맛나게 먹다

맛에 대한 우리나라 사람의 생각은 어떨까요? 어떤 게 맛있는 음식일까요? 우리말은 맛에 대한 우리의 태도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맛은 없을 수도 있고, 있을 수도 있지만, 있다면 그것은 분명이 좋은 겁니다. 그것을 알 수 있는 표현이 바로 ‘맛있다’입니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맛은 있으면 무조건 좋은 겁니다. 그래서 우리말에 ‘맛이 좋다’는 표현은 있지만, 맛이 나쁘다는 표현은 없습니다. 맛은 있으면 좋은 것이고, 맛이 좋지 않으면 우리는 ‘맛이 없다’고 표현했습니다.

왜 맛은 있으면 무조건 좋다고 생각했을까요? 저는 그것은 맛의 다양함을 존중하는 태도라고 생각합니다. 맛은 단맛만 좋은 것이 아닙니다. 음식은 써도 맛있고, 짜도 맛있습니다. 물론 시어도 맛있습니다. 그런데 반대로 말하자면 달아도 맛이 없을 수 있고, 써도 맛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묘하지요. 그렇게 보면 맛은 맛을 보는 우리에게 달려있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어떻게 먹느냐에 따라 맛은 달라집니다.

저는 맛에 관한 우리말 감각 표현이 무척 재미있습니다. 예를 들어 짠맛도 아주 다양한 표현이 있습니다. 우선 간은 짠맛에 해당합니다. 간이 맞았다는 말도 짠맛이 적당하다는 의미입니다. 간간하다는 말은 짜기는 한데 괜찮은 느낌입니다. ‘간이 세다’라든지, ‘간이 부족하다’는 말도 대부분 짠맛과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 음식의 짠맛을 결정하는 것은 그런 의미에서 ‘간장’입니다. 간장은 짠맛을 조절합니다.

 또한 ‘짜다’라는 말은 다양한 변신을 합니다. 사실 짜다는 말 자체는 약간 부정적입니다. 그런데 짜다가 반복이 되면 느낌이 좋아집니다. 짭짤하다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짭조름하다는 말도 있습니다. 역시 좋은 짠맛입니다. ‘짭조름’이 변하면 ‘찝찌름’이 되는 것 같습니다. ‘달다’도 비슷합니다. 달다는 말 자체로는 부정적인 경우도 있습니다만, ‘달달하다, 달콤하다, 달짝지근하다’는 좋은 느낌을 줍니다. ‘시다’는 겹쳐서 나타나지는 않습니다만, 모양을 바꾸어 나타납니다. 바로 ‘새콤하다’입니다. 시큼보다 새콤은 좋은 신맛의 느낌입니다. ‘새콤’은 그래서 ‘달콤’과 짝을 이루기도 합니다. ‘새콤달콤’은 맛있는 맛의 예쁜 표현으로 보입니다. ‘쓰다’의 경우에 ‘씁쓸하다’는 약간 어두운 느낌입니다. 그래서 좋은 느낌을 나타내고자 할 때는 ‘쌉쌀하다’로 바뀝니다. ‘새콤’이나 ‘쌉쌀’은 밝은 모음으로 바꾸어 맛도 밝게 만든 겁니다.

한편 맛은 먹는 사람의 태도에 따라 결정이 되기도 합니다. 즉 먹는 마음 자세에 따라 맛이 음식 속에서 나오게 되는 겁니다. 예를 들어 음식을 맛있게 먹으면 음식은 맛있어 집니다. 그럴 때 쓰는 표현이 바로 ‘맛나게 먹다’입니다. 맛이 나오게 먹는다는 의미입니다. 음식을 아주 맛나게 먹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런 사람을 우리는 복스럽게 먹는다고도 합니다. 그런데 똑같은 음식도 맛없게 깨작거리며 먹는 사람도 있습니다. 정말 맛이 없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음식을 가장 맛나게 먹는 방법은 좋은 사람과 먹는 겁니다. 사랑하는 사람, 사랑하는 가족과 먹으면 음식은 맛이 더 생겨납니다. 우리말에서는 이런 관계를 식구(食口)라고 합니다. 먹는 입이라는 의미로 가족과는 느낌이 전혀 다릅니다. 나랑 음식을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사람이 바로 식구입니다. 식구 같은 사람이 많아지면 행복한 겁니다. 보통 사이가 안 좋은 사람에게 ‘밥맛이 떨어지다’, ‘밥맛이 없다’라는 표현을 합니다. 그러니 역으로 밥맛이 나는 사람은 좋은 관계인 겁니다.

저는 요즘 산에서 도시락을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금 귀찮을 수는 있지만 정성이 가득이어서 좋습니다. 오늘도 산에 올라 좋은 사람과 함께, 준비해온 도시락을 먹으면서 생각했습니다. ‘맛이 참 좋다, 정말 맛나게 먹었다.’라고 말입니다.

조현용
(경희대 교수, 한국어교육 전공)
 iiejhy@khu.ac.kr